6월 16일 전주페이퍼 공장에서 발생한 산재사망사고로 억울하게 죽음을 당한 19세 청년노동자의 유가족과 노동·시민단체들은 6월 25일 공장 앞에서 “은폐시도 규탄, 사죄 및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분향소를 설치했다.
분향소에는 전주페이퍼 고인의 동료들과 전주 지역의 노동조합 및 노동단체, 조국혁신당·진보당·정의당, 시민들이 찾아와 고인의 죽음을 애도하고 있다. 분향소는 매일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며, 특히 오전 출근 시간에는 고인의 어머니와 가족들이 회사에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피켓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분향소 위치는 전주시 덕진구 팔복로 59 전주페이퍼 전주공장 앞이다.
우원식 국회의장, 이학영 국회부의장(민주당, 환노위), 정동영 국회의원,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윤종오 국회의원(진보당), 조국 국회의원(조국혁신당) 등 여러 정치인들이 근조화환을 보냈으며, 환노위 이용우 국회의원은 이날 오후 7시 30분경에 분향소를 직접 방문할 예정이다. 국회 의장실과 국회 환노위 차원에서도 청년노동자의 사망사고에 대한 관심과 진상규명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외에도 진보당, 정의당, 전북민중행동, 민주노총 전북본부, 민주노총 전남본부 등 노동시민단체들이 근조화환을 보내왔다.
기자회견 직후, 회사는 유족들의 주장에 대한 반박 성격의 입장문을 게시했다. 하지만 사고 당일과 다른 조건에서 현장조사를 진행한 후 동일한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했다고 주장해 논란이 되고 있다. 사고 발생지역은 여러 유발 요인들로 인해 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현장으로, 유족들과 노동시민단체들은 사고 당시와 유사한 환경에서의 측정을 수차례 요청했지만, 회사와 노동청은 이를 묵살했다. 유족들은 사측이 사고 원인을 제대로 규명할 의지가 있는지, 고인과 유족들에게 최소한의 예의를 지키고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유가족측은 사고 당시 유독가스 발생 가능성에 대한 조사 미흡했으며, 사고 현장과 유사한 조건에서의 재조사 요청 묵살하고
회사의 사고 은폐 시도 및 진상규명 의지가 부족하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에 대한 요구로 사고 당시와 유사한 환경에서의 철저한 재조사와 사측의 진심 어린 사죄와 책임 인정, 재발 방지를 위한 안전 대책 마련 및 시행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