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는 잔재 쓰레기를 줄이고 청소행정의 효율화를 위해 2023년 7월 도입한 ‘권역별 청소책임제’를 전면 개선한다고 25일 밝혔다. 2024년 8월 1일부터 시행되는 ‘전면 권역별 청소책임제’는 수거 권역을 재조정하여 운영된다.
지난 1년간 운영된 권역별 청소책임제에서 접수된 1만2000여 건의 민원을 분석한 결과, 주요 문제점들이 드러났다. 개선된 체계에서는 행정동을 구분하여 한 개의 동은 한 개의 수거업체가 책임을 지게 되어 시민들이 수거업체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권역 규모로 권역을 개편해 근로자 업무와 장비 운영의 탄력성을 높였다.
시는 전체를 12개 권역으로 나누고, 대행 8개 권역과 직영 4개 권역으로 구분해 각 권역별 담당 책임하에 청소와 쓰레기 수거를 전담하게 한다. 이를 통해 대행·직영 혼합구역에서 발생했던 책임소재 문제를 명확히 했다.
새로운 수거체계는 사전점검 후 8월 1일부터 시행되며, 시·구 합동으로 권역별 담당팀을 편성해 청소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시민들의 혼란을 예방하기 위해 안내 전단지 1만 매를 배포하고, 시내버스 승강장 BIS시스템과 전광판 등을 통해 홍보할 예정이다.
이영섭 전주시 자원순환녹지국장은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권역 수거는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업으로, 이번 개선으로 안정적인 청소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시는 개선된 권역별 청소책임제 시행으로 청소 주체가 명확해짐에 따라 수집·운반 수행 상태를 종합 평가하여 가·감점을 차기 대행업체 선정에 반영할 계획이다. 또한, 정년퇴직 등에 따른 인력 감소에 대응해 직영 환경관리원 확충 또는 대행업체 확대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