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대위는 3일 보도자료를 내 “후보를 추대하면 해산하겠다는 입장을 바꿔 범도민 교육감 추대위를 상설기구화해 전북교육계의 배타적 진보와 보수의 전횡을 막아내고, 전북교육이 발돋움할 수 있도록 디딤돌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추대위는 또한 이번 주 내에 여론조사를 마치고, 오는 7일 오전 전북교육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추대후보를 밝힐 예정이다.
추대위는 한편 학교바로세우기 전북연합 측과 결별했다는 언론보도에 대해 해명하면서 “최근 학교바로세우기 측 탈퇴자는 2명뿐이고, 다른 분들은 회비를 내지 않아 회칙에 따라 그 전에 제명된 상태였다”고 밝혔다. 추대위 관계자는 “그동안 통합기구 활동에서 학교바로세우기 측 대표위원들은 허기채 회장을 제외하고는 회의조차 제대로 참석하지 않았으며 대부분 회비도 납부하지 않는 등 최소한의 의무조차 이행하지 않아 탈퇴선언 이전에 이미 대표위원회의 의결을 거처 제명된 상태였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학교바로세우기 측의 탈퇴선언 과정에서 내부 회원들의 의사조차 묻지 않았고 특정후보들과 이해관계에 따른 돌출행동에 지나지 않는다는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며 “일부 인사의 탈퇴선언은 쇼”라고 말했다.
추대위는 “학교바로세우기 전북연합 부회장 등이 추대위 대표위원 복귀를 희망하고 있고 대표위원회의에 참석해 소명하기로 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범도민 추대위와 학교바로세우기 전북연합의 통합이 처음부터 문제가 있었다는 추대위 내부 비판도 있다. 강명규 대외협력국장은 “추대위는 애초 단체연합 배제 원칙을 세웠는데, 특정세력을 대변하는 단체인 학교바로세우기 측과 통합한 것 자체가 문제였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