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하 연구원)이 지난 5일 ‘2013년 한국의 성 인지 통계’를 발간했다. 연구원은 기존 사회통계 및 지표를 검토 분석해 여성의 상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해마다 ‘성 인지 통계’를 발간하고 있다.
2013년 통계는 가족, 교육, 경제활동, 보건 등 총 11개 부문에 306개 통계표로 작성됐다. 이 중 교육부문에서는 관심영역을 교육기회, 교육여건 및 자원, 교육의 결과로 나눠 교육수준, 학교교육 및 사회교육, 직업훈련, 인력자원, 교육환경, 교육효과와 인력양성 등 35개 관련 지표를 수록하고 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1994년부터 매년 여성통계연보를 발간해왔고 2008년부터 ‘성 인지 통계’라는 이름으로 변경해 발간하고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여성관련 사회통계 및 지표를 집대성함으로써 여성문제 연구자 및 정책입안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평가할 수 있게 한다”고 통계 자료의 의의를 설명했다.
521쪽에 달하는 ‘2013년 한국의 성 인지 통계’는 연구원 성 인지 통계 사이트인 http:/gsis.kwdi.re.kr에 E-book 형태로 게재돼 있다.

('한국의 성인지 통계' 지표체계 중 교육 부문)
아래 내용은 위 발간 자료를 축약한 것이다.
▲ 인 구
○ 여성인구 추이 : 2013년 여성인구는 25,087천 명으로 총인구의 50%를 차지함.
○ 부양비 및 노령화 지수 : 2010년 총부양비는 38.0%, 노령화 지수는 69.7%로 나타남.
○ 25∼39세의 미혼비율 : 2010년 25∼39세 미혼 여성비율은 35.5%로 2005년 대비 8.1%p 상승
○ 여성이 일생 동안 출산하는 자녀 수(합계출산율) : 2012년 합계출산율은 약 1.29명으로 전년대비 소폭 상승
▲ 가 족
○ 여성가구주 : 2010년 여성가구주 가구는 25.9%로, 5년 전에 비해 4%p 상승
○ 가족 형태 : 2010년 100가구 중 9.2가구는 한부모 가구
○ 다문화 가구 : 2010년 전국 다문화 가구수는 386,977가구로, 전체가구의 2.2%를 차지함.
○ 평균 초혼과 재혼연령 : 2012년 여성의 평균 초혼연령은 29.4세이며, 평균 재혼연령은 42.3세
○ 노인인구의 생활비 마련방법 : 60세 이상 여성노인의 37.3%는 자녀 또는 친척지원에 의지하여 생활
▲ 보 육
○ 0∼5세 자녀의 수탁률 추정 : 0~5세 자녀의 수탁률, 보편적 보육수요관점으로 보면 53.5%
○ 가구당 보육비용 : 2012년 가구당 보육비용은 평균 323천 원이며, 209년 대비 12천 원 감소.
▲ 교 육
○ 국민 평균 교육년수 : 2010년 여성의 평균 교육년수 10.9년으로 남성에 비해 1.5년 낮음.
○ 교육비 부담에 대한 여성의 인식 : 2012년 여성가구주의 75.7%가 교육비에 부담을 느낀다고 응답
○ 학교급별 취학률 : 2013년 고등교육기관 취학률, 여학생이 68.0%로 남학생(69.4%)에 비해 1.4%p 낮음
○ 학교급별 취업률 : 2013년 대학교 여성의 취업률은 51.3%, 남성의 취업률은 59.7%임.
▲ 경제활동
○ 연도별 경제활동참가율 : 2013년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0.0%로 전년대비 0.1%p 상승함.
○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 20~24세와 35~39세 연령층의 여성경제활동참가율은 하락 추이 지속
○ 혼인상태별 경제활동참가율 : 2013년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0.1%로 전년대비 0.5%p 상승.
○ 교육정도별 경제활동참가율 : 2013년 대졸이상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4.0%로 남성에 비해 24.4%p 낮음.
○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 2000년 이후 여성 취업자 중 상용직 임금근로자 비율 상승 추이
○ 직업별 취업자 : 2013년 여성취업자 중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직 비율은 21.9%
○ 산업별 취업자 : 2013년 여성취업자 중 도매 및 소매업 종사자가 15.8%로 가장 많으며, 2010년 대비 광업(7.7%p)과 폐기물 관련업(5.3%p), 국제 및 외국기관(5.5%p) 등 업종에서 크게 상승
○ 비정규직 여성 근로자 : 2013년 여성 임금근로자 중 40.6%는 비정규직
○ 임금격차 : 2012년 남성 대비 여성의 임금비는 64.7%.
○ 직업선택 요인 : 여성의 직업선택 요인은 수입(37.9%), 안정성(28.0%), 적성, 흥미(18.1%) 순
○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 : 2013년 여성 비경제활동인구의 54.5%는 가사활동
○) 경력단절 여성 규모 : 2013년 여성 경력단절 규모는 1,95천 명으로 비취업여성의 48.1%
▲ 보 건
○ 평균 수명 : 2012년 여성의 평균수명은 84.6세로 남성보다 6.6세 오래 삶.
○ 연령별 학생 신장 : 2012년 고등학교 신입생(17세)의 평균 키는 여학생 160.9cm, 남학생 173.6cm임.
○ 19세 이상 인구의 비만도 : 2012년 19세 이상 인구의 비만도는 남성이 36.1%로 여성보다 6.4%p 높음.
○ 사망원인 순위별 사망률 : 2012년, 사망률이 가장 높은 사망원인은 남녀 모두 악성신생물(암)
▲ 복 지
○ 연령별 국민연금 가입자 현황 : 30대 여성의 국민연금 가입자 비율 급감현상 2012년 다소 완화된 경향 보임.
○ 기초생활보장 현황 : 2012년 여성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738천 명으로 전년대비 47천 명 감소함.
○ 노인이 받고 싶은 복지서비스(60세 이상자) : 2013년 노인이 가장 받고 싶은 복지서비스는 건강검진으로 여성 47.4%, 남성 54.9%임.
○ 사회복지 생활시설의 생활 인원 : 2012년 사회복지 생활시설의 여성생활자는 전체 생활시설자 중 63.5%를 차지함.
▲ 정치 및 사회참여
○ 5급 이상 관리직 여성공무원 : 2012년 관리직 여성공무원의 비율은 중앙정부 1.3%, 지자체 9.9%임.
○ 국가고시 여성 합격자 비율 : 2013년 국가고시 여성합격자 비율 전년대비 외무고시 증가, 행정고시, 사법시험 감소.
○ 사회계층 의식 : 2013년 사회계층의식 201년에 비해 상과 중은 감소하고 하 증가
▲ 문화 및 정보
○ 콘텐츠산업 종사자 : 2012년 콘텐츠산업 종사자 중 여성은 25,326명으로 전체 종사자의 40.6%
○ 여가활용 만족도 : 여성의 25.8%, 남성의 28.4%만이 여가활용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남.
○ 여가활동 불만이유 : 2013년 여성의 여가활동 불만의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 부담’으로 56.4%
▲ 안 전
○ 범죄의 위험에 대한 인식 : 2012년 범죄 위험으로 불안을 인식하는 비율, 남녀 모두 증가함.
○ 강력(흉악) 범죄 피해자 : 2012년 강력범죄 여성 피해자는 2,381명, 전체 피해자의 85.0% 차지
○ 성폭력 발생건수 : 2012년 성폭력 발생건수는 21,346건으로 전년에 비해 소폭 감소함
○ 범죄자 수 및 여성비율 : 2012년 여성 범죄자 수는 354,854명으로 전체 범죄자의 16.8% 차지
○ 준법 수준에 대한 자기 평가 VS 타인 평가 : 2012년 여성은 자신의 경우 68.3%가 준법을 행하지만, 타인의 경우 34.7%만이 법을 준수한다고 평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