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미래교육 환경 구축을 위해 보급한 스마트칠판이 교사와 학생의 수업 집중도와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 미래교육연구원 미래교육정책연구소는 지난 6월 12일부터 19일까지 교사 1708명과 학생 435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칠판 활용 실태 및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교사의 85.3%가 스마트칠판을 활용한 수업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90.5%, 중학교 77.2%, 고등학교 76.8%가 스마트칠판을 사용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칠판 사용 경험이 없는 교사 14.7%는 주로 ‘스마트칠판이 보급되지 않아서’(81.0%)라고 답했다.
스마트칠판이 교육활동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교사는 76.5%였으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4.4%에 불과했다. 스마트칠판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교육자료의 효과적 전달’(77.0%)이 꼽혔고, 이어 학생집중도 향상(36.7%), 교육내용 즉각적 수용 및 적용(34.3%), 학생수업참여 향상(29.9%) 순이었다.
교사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스마트칠판 기능은 화면판서 기능(80.2%), 화면공유 기능(52.2%), 자체 인터넷 기능(36.9%)이었다. 학생들은 스마트칠판 활용 수업이 수업 집중도(71.0%)와 이해도(71.4%)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교사들은 스마트칠판 활용에 있어서 개선할 점으로 ‘활용 연수 필요’, ‘오류 개선’, ‘발열 문제’ 등을 지적했다. 특히, 단순 기능 안내보다는 교실 수업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연수와 수업 사례 나눔 등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전북교육청은 이번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적 활용 연수 지원, 기술적 오류 극복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등 효과적인 스마트칠판 활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숙경 소장은 “이번 조사는 학교 현장에서 스마트칠판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진행했다”며, “스마트칠판 연계 콘텐츠나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요를 조사해 지원하는 등 스마트칠판을 수업에 잘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