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 거점 국립대학 중 제주대, 전남대, 전북대의 국가장학금 2유형 소진율이 가장 낮았고 제주대와 전남대의 경우 장학금 확충 노력이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박혜자 의원이 제주대, 전남대, 전북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가장학금 제2유형 소진율이 제주대 29%, 전남대 36%, 전북대 38%로 10개 거점 국립대학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주대와 전남대의 경우에는 장학금 확충 노력도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국가장학금 제2유형 배정액 중 제주대는 22억 6,700만원, 전남대는 41억 9천만원, 전북대는 36억 5,900만원을 각각 집행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3년 국가장학금 제2유형 수혜인원 대비 1인당 지급액도 서울대가 134만원인데 반해 전남대는 22만원, 전북대는 22만 3천원, 제주대는 32만 3천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장학금 2유형은 등록금 인하‧동결 또는 장학금 확충 등의 자체노력을 이행하는 학교를 대상으로 하며 대학 자체노력 인정규모에 상응하는 재원을 장학금으로 매칭(1:1)하여 배분한다. 교육부는 국가장학금 2유형 배분기준에 따라 각 학교에 배분하고 해당학교가 소득 8분위 이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율적으로 지급하도록 하고 있다.
박혜자 의원은 “국가장학금 2유형의 문제는 대학의 자체노력 여부에 따라 학생들이 받게 되는 장학금의 여부, 규모가 달라지기 때문에 각 대학의 등록금 인하 및 장학금 확충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밝히며 각 대학의 분발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