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by Kwon Hyuk-seon] What Needs to be Improved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Succeed?
...
( 편집부 ) (2025-08-01 10:13:41)
권혁선 (전북지역공동 교육위원회 자문. 한국중등수석교사회 회장)
최근 고교학점제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전교조와 교원노조 등 교사 단체뿐만 아니라 부산 지역 고등학생들까지 고교학점제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학생들이 고교학점제를 반대하는 주요 이유는 내신 5등급 평가 방식 때문이다. 학생들은 내신 등급이 너무 크게 나뉘어 변별력이 떨어지고, 이 때문에 학습 의욕이 저하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100명 중 10명이 1등급을 받고, 11등부터 34등까지 모두 2등급으로 분류된다. 이때 11등 학생은 "내가 34등과 같은 등급인 것이 불공평하다"고 느낀다. 학생들은 자신의 노력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원인은 내신이 대학 입시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현재의 평가 방식이 학생들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다. 특히 1학년 학생들은 2~3학년 학생들의 성적과 자신의 성적을 비교하며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3학년은 일반 선택 과목까지만 등급이 산출되고, 진로 선택 과목은 점수가 아닌 성취도(A, B, C)만으로 평가한다. 이런 평가 구조 때문에 학생들은 성적 관리에 더욱 민감해진다.
고교학점제가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내신 성적 중심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과 인성, 잠재력을 함께 평가하는 학생부종합전형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재는 수행평가가 과도하게 많아 학생들이 부담을 느끼고 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한 학기에 수행평가가 30번 이상 이루어진다고 한다. 이 때문에 평가 방식을 조정하고 평가 횟수를 적절히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은 학기제를 도입하는 것이다. 학기제를 운영하면 학생들이 집중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과목이 줄어들고, 평가 부담도 감소하게 된다. 현재의 학년제 방식보다 학생들이 진로 선택과 학습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다만, 학기제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업무 부담이 증가하지 않도록 충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사 수를 늘리고 행정 업무를 축소해 교사가 본연의 교육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시스템적인 개선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창의력과 사고력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도록 논술형 및 서술형 평가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다양한 정답을 인정하는 평가 방식을 확대해 객관식 중심의 평가를 극복해야만 한다.
학생들의 반대 의견을 통해 고교학점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제도가 본래 취지에 맞게 제대로 정착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이를 통해 미래 교육이 학생들의 성장과 발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길 기대한다.
Kwon Hyuk-seon (Advisor to the Jeonbuk Regional Education Committee, President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re is currently a heated debate surround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Not only teacher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but also high school students in the Busan region have held press conferences oppos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main reason students oppos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due to the internal grade evaluation system with 5 levels. Students argue that the internal grade divisions are too large, leading to low discrimination, which in turn diminishes their motivation to learn. For example, out of 100 students, only 10 receive a grade of 1, while the rest from 11th to 34th place are all classified as grade 2. The 11th student feels it is unfair to be in the same grade as the 34th student. Students believe that their efforts are not being properly reflected.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lies in the fact that internal grades are a crucial factor in university admissions. The current evaluation method is placing a heavy burden on students. Particularly, first-year students feel a sense of crisis as they compare their grades with those of second and third-year students. Third-year students are only evaluated based on general elective subjects, while career-oriented elective subjects are assessed based on achievement levels (A, B, C) rather than scores. Due to this evaluation structure, students become more sensitive to grade management.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settle properly, it is necessary to move away from the emphasis on internal grades and expand the student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which assesses students' various activities, character, and potential. However, currently, there are excessive performance evaluations causing students to feel burdened. According to media reports, there are over 30 performance evaluations conducted in one semes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evaluation method and appropriately reduce the frequency of evaluations.
A practical solution to improve these issues is to introduce a semester system. Operating on a semester system would reduce the number of subjects students need to focus on intensively, thus decreasing the evaluation burden. It would allow students to concentrate more on career choices and learning compared to the current annual system.
However,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the semester system, there must be sufficient support to prevent an increase in teachers' workload. Systematic improvements are essential to ensure that teachers can focus on their core educational activitie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eachers and reducing administrative task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weight of essay and descriptive evaluations to properly assess students'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Expanding evaluation methods that accept various answers is crucial to overcoming evaluation centered on multiple-choice questions.
Through students' opposing views, the shortcoming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hould be addressed, turning it into an opportunity for the system to settle properly according to its original purpose. It is hoped that this will lead future education towards more effectively supporting students' growth and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