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는 차세대 주요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을 새로운 기술이다. 그러나 촉매로 활용되는 백금의 가격이 비싸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어 세계적으로 이를 대체할 새로운 촉매 개발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메탄올 연료전지 개발에서 백금과 같이 비싼 촉매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촉매를 개발할 수 있는 연구가 전북대 연구진에 의해 제시돼 주목을 받았다.
전북대 BIN융합공학과 이중희 교수 연구팀의 대학원생 박민욱씨(석사과정)를 비롯해 정대승(수소연료전지공학과 박사과정), 아쇽 구마 다스(박사후 연구원), 김남훈 연구 교수 등이 이 연구의 주인공이다.
그동안 꿈의 신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 ‘그래핀(Graphene)’을 이용한 나노복합재료를 만드는 연구 등에 매진해 온 이중희 교수팀은 이 그래핀 위에 산화니켈코발트 나노입자를 부착해 메탄올의 산화 환원을 위한 촉매를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 수소에너지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회인 세계수소에너지학회 20번째 학술대회에서 발표돼 우수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이 촉매를 이용하면 가격이 비싼 백금보다 경제성이 우수하면서도 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어 연료전지 상용화도 크게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중희 교수는 “세계 학계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그래핀을 이용해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성능이 우수한 연료전지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라며 “연료전지 촉매와 관련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는 만큼 이 연구 분야를 전북대가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