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5-12 09:57:27

김승환 교육감 “민주시민교육 터전 닦겠다”


... 문수현 (2015-01-06 12:06:10)

IMG
김승환 전북교육감이 6일 오전 도교육청 기자실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었다.

김 교육감은 이 자리에서 ‘전북도민과 교육가족께 드리는 글’을 통해 “2015년을 공동체 회복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원년으로 선언한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시민교육은 자율적이고 공동체적 생활능력을 갖춘 사람, 주체적인 결정을 할 수 있는 사람을 길러내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김 교육감은 이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으로, 먼저 학교자치조례를 제정해 교사회, 학생회, 학부모회 활동을 지원하고, 학교교육과정 수립과 학교회계예산 편성과정에서 직접 참여를 각 주체들에게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교무회의의 민주적 운영 척도를 개발하고 각 학교 급별로 교무회의 모델학교 2곳을 운영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혁신학교 정책은 학교교육과정 안으로 연착륙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와 함께 지속적인 수업 혁신이 가능하도록 교과연구회와 전문학습공동체를 키우겠다는 뜻도 덧붙였다. 특히 농촌에서 도시로, 초등에서 중등으로 혁신학교의 가치를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학력 신장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김 교육감은 먼저 “학력 신장은 점수 몇 점 올리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라며 “참된 학력 신장은 아이들이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길러주는 것, 재능과 적성을 찾아 자신의 삶을 발현시켜 나가도록 하는 것”이라고 전제했다.

학력 신장과 관련한 구체적 방안으로는 교사의 수업권과 평가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전북형 평가제도’ 적용, 토론·협력형 수업 강화와 교사 글쓰기 연수 확대, 인문학적 가치 교육 지원 등을 내놨다.

다만 교육감의 ‘참된 학력’이 일반적 ‘학력’ 관념과 거리가 멀다는 점, 교사의 수업권·평가권 강화가 학력 신장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논란은 피할 수 없어 보인다. 또한 인문학을 특권화 한다는 지적에도 답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학생 안전을 위해서는 지난해 8월부터 학생안전관리지원단을 운영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올해에는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학생안전권보장특별위원회가 안전 관련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아가 유치원, 초등 3학년과 5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3년에 1회 이상, 전북119 안전체험관과 연계한 체험 중심 안전교육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김 교육감은 이밖에도 다양한 진로직업 체험처를 발굴해 교육을 내실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교육 문제는 정책만으로 해결할 수 없다. 교육공동체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나 유관기관의 협력 없이는 더욱 성공하기 어렵다”며 “전북교육은 오직 도민과 교육가족 여러분의 신뢰를 동력으로 삼아 뛰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김 교육감은 회견문 서두에 “2014년은 위선과 거짓말로 사회가 분열됐으며, 일찍이 경험하지 못한 증오와 멸시와 반목이 곳곳에 넘쳤다”며 부정적 성격이 강한 단어들을 한 번에 언급하기도 했다.

회견문 말미에서는 “‘지방교육자치를 통한 지방균형발전’이라는 시대 흐름을 거스르는 정책과 거친 주장들이 아무런 검증과 여과 과정 없이 튀어나오고 있다”며 정부의 교육정책을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