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의 장애인 교육·복지 수준이 전국 최하위권을 맴돌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북은 특히 교육분야에서 서울과 함께 3년 연속 최하위권인 ‘분발’ 등급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심각성을 보였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이 조사한 2015년 시·도별 장애인 교육·복지 분야 전수조사 결과에 따르면, 17개 시·도 가운데 장애인 교육 분야 우수 지역은 광주, 대전, 울산, 세종, 충북, 경남이었다. 특히 울산과 경남은 3년 연속, 세종과 충북은 2년 연속 우수 등급에 포함됐다.
서울·전북과 함께 ‘분발’ 등급에 이름을 올린 인천의 경우, 지난해 ‘보통’에서 한 등급 하락했다.
전국 평균 점수는 작년보다 3.6점 낮은 67.03점이었다.
한편, 장애인복지 분야에서 전국 평균 점수는 작년보다 1.77점 하락한 46.0점으로 나타났으며, 서울·부산·광주·대전·울산·세종·제주 지역은 우수 등급을, 전남·경북 지역은 분발 등급을 받았다.
전북은 전국 평균에 못 미치는 점수로 역시 하위권에 머물렀다.
시도별 장애인 교육·복지 점수와 등급은 해마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의 주도로 자료조사를 거쳐 발표되고 있다.
이 단체는 전국 시도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장애인 교육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이 같은 결과를 20일 국회에서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