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에 메르스 여파로 휴업한 학교가 속출했고 학부모들의 불안감은 확산됐다. 하지만 전북교육청의 대책은 미흡했다. 전북교육청은 학교휴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상태를 실시간 체크하고 학부모들과 긴밀하게 소통하라는 구체적 매뉴얼을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휴업조치에 따라 일부 학부모들이 자녀 보호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 학교에 일부 등교시켜 학교에서 보호하도록 조치하지 않아 휴교와 다를 바 없는 학교 휴업이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김승환 교육감의 "휴업이 최선이냐"라는 반문이 전북도교육청의 당시의 대응 상황을 말해주고 있다.
2. 누리과정 교육비 지원 차별 없어야
정부와 전북교육청이 누리과정 예산문제로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갈등을 지속하고 있어 어린이집 종사자와 학부모들은 냉가슴을 앓고 있다. 반면에 같은 나이의 어린이들인데도 유치원에 다니는 경우에는 누리과정 교육비를 지원받고 있으며 어린이집에 다니는 경우에 지원받지 못할 위기에 있다. 더 이상 누리과정 교육비 지원에 차별은 없어야 한다.
3. 전북 4년 연속 기초학력 미달 비율 늘어나
전북교육청이 기초학력 미달학생에 대해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전북의 4년 연속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북은 2015년 4.9%(하위 2위), 2014년 5.0%(하위 2위), 2013년 4.0%(하위 3위), 2012년 2.2%(하위 6위) 등 4년 연속 기초학력 미달 비율의 상승세는 물론 매년 최하위를 면치 못하고 있다.
4 학생인권 보호하랬더니 신고학생 신분 누설
학생인권을 보호해야 할 전북교육청의 학생인권교육센터가 당사자의 동의도 없이 신고학생의 신분을 누설해 충격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인권센터 조사팀장은 조사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언론사 기자들을 비방하거나 여러 잘못된 처신으로 학생인권교육센터의 기능을 저해하고 있다. 국정감사장에서도 국회의원이 이 문제를 김승환 교육감에게 따져 묻기도 했다.
5. 전북교육청이 문제 없다던 특수학교 장애인 성폭력, 경찰조사로 진실은 드러났지만...
전북교육청 내부 관련자들의 ‘은폐·조작 감사’, 주관부서의 부실 대응과 관리감독 허술, 사안 방치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은 애써 회피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 문제는 아직도 풀리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