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프로그램은 스위스에 본부를 둔 비영리교육재단인 국제 바칼로레아 기구(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 이하, IBO)에서 개발, 운영하는 국제 인증 학교 교육 프로그램으로 1968년 고등학교 졸업 후 2년 과정의 자격증 프로그램인 디플로마 프로그램(DP)으로 시작됐으며 현재 160여 개국 4960개 학교에서 6425개의 IB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IB 프로그램은 학생 개인의 역량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두고 있어 주입식 교육과 암기식 교육을 대체하는 교육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IB 프로그램은 인지적 발달을 비롯하여 학생들의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건강을 중요시하며 자신과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할 수 있도록 장려한다.
IB 프로그램은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대학입학 프로그램으로써 전세계 어디에서나 IB과정을 마친 학생들은 대학 입학에 있어서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IB는 중등교육 프로그램(Middle Years Programme, MYP)과 초등교육 프로그램(Primary Years Programme, PYP)을 각각 1994년도와 1997년도에 도입함에 따라 만 3~19세 학생들을 위한 국제 수준의 연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실현했다. 2012년에 소개된 직업 연계 프로그램(Career-related Programme, CP)은 만 16~19세 학생들에게 더 다양한 국제교육의 경로를 제공하여 IB의 연속적인 교육모델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다
전북교육청을 비롯해 올해 IBO와 협력각사 체결을 준비하고 있는 시도교육청은 22일 세종에서 ‘IB 도입 및 안정적 운영을 위한 시도교육청 협의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는 전북·서울·인천·충남 등 4개 시도교육청과 이미 IB 프로그램 도입을 완료한 대구·제주·경기·전남교육청을 대표한 대구교육청이 참여했다.
주요 협약 내용은 IB 프로그램 도입과 안정적 운영을 위한 △IB 본부와의 협약 및 협력에 관한 사항 △IB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교원 연수 △IB 프로그램 운영학교 간 교류 지원 △IB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시도 재정 분담 △ IB 프로그램 도입·운영을 원하는 다른 교육청의 참여에 관한 사항 등이다.
이번 협약으로 IB 도입·운영 시도교육청 간 실무협의체 구축, 교원 연수 지원, 공동사업비 분담 등의 협력 체계가 구축되면서 교육공동체의 관심을 증대시키고, 안정적 운영을 위한 기반 조성을 도모한다.
앞서 전북교육청은 2022년 하반기부터 도입을 검토하기 시작하여 2023년 5월 IBO와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2023년 하반기부터는 전북·서울·인천·충남교육청 관련 부서의 담당자 간 긴밀한 협조 체계를 유지하며 IB 프로그램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