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4-21 17:36:16

인터뷰 : 제12대 전북특별자치도의회 후반기 문승우 의장


... ( 편집부 ) (2024-06-29 22:50:26)

IMG
“일 잘하는 의회, 함께 만드는 전북”

제12대 전북특별자치도의회 후반기 의회가 ‘일 잘하는 의회, 함께 만드는 전북’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7월 1일 출범했다. 후반기 도의회를 이끌 문승우 의장(군산4·더불어민주당)은 “올해 초 전북특별자치도의회로 출범한 만큼 보다 확대된 자치권 확보를 위해 의회가 할 일이 많다”며, “전북몫을 챙기는데 의회역량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또, “의원 개개인의 역량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도록 일하는 분위기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다음은 문승우 의장과의 일문일답.

제12대 전북특별자치도의회 후반기 의장으로 선출되셨습니다. 소감이 어떠신지요.

저를 믿고 선택해주신 동료 의원님과 늘 도의회를 응원해주시는 도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막중한 자리에 앉은 만큼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특히, 후반기 도의회는 전북특별자치도의회로 자리를 잡아야 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전북특별자치도와 도의회가 성공적인 특별지자체 모델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도민과 의원님들의 역량을 모으는데 앞장서겠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출범 원년입니다. 의회에서는 어떤 활동을 할 계획이신지요.

올해 전북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전북특별자치도의회로 거듭났습니다. 책임과 사명이 더욱 막중해졌습니다. 우선 전북특별법 특례와 관련된 조례를 신속하게 제정하겠습니다. 더불어 추가 특례와 민생조례를 발굴해 특별법에 반영시키는 일도 하겠습니다. 특히, 특례 발굴과 관련해 중앙정부, 중앙정치권에 전북의 목소리를 전하는 일에 앞장서겠습니다. 전북 몫을 챙기는 의회가 되겠습니다.

‘일 잘하는 의회, 함께 만드는 전북’을 슬로건으로 제시하셨습니다.

전북은 지금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산업적으로는 탄소제로경제로의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고, 지역적으로는 지방소멸의 과제가 당면해 있습니다. 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자치권의 실효성을 높이는 것도 시급한 과제입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슬기롭게 대처하지 못하면 어렵게 얻은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회에서는 집행부와 적극 협력해 전북발전의 기회로 활용하겠습니다. 정책을 제안하고, 도민과 함께 지역의 비전을 만들어가는 의회가 되겠습니다. 당당하고 자신 있게 일하는 모습을 보이겠습니다. 지역발전을 위해서라면 작은 힘까지도 한데 모아내는 통합과 협치의 의회가 되겠습니다.

도민을 위해 일하는 의회를 공약으로 내세우셨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실현하실 계획입니까.

도의회는 도민을 위해 존재하는 기구입니다. 따라서 도민과의 소통과 접점을 늘리는 것이 필수입니다. 우선, 지역 대표성 확보를 위해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수준으로 의원 정수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강원은 인구가 전북보다 적지만 도의원이 49명으로 우리 전북보다 9명 많습니다. 14개 시군의 목소리가 골고루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광역의원 수를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상임위원회를 지금보다 세분화해 분야별 전문성을 더하고, 의회 공간을 도민들이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재배치하거나 확장하는 방안도 검토할 방침입니다. 의원정수 확대와 상임위원회 확충 등을 위해서는 의원회관 신축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의원회관은 의정용도만이 아니라 도민과의 소통공간으로 활용돼야 한다고 봅니다. 장기적으로 검토해야 할 과제라고 봅니다.

공약에 의회 독립과 위상 강화도 강조하셨습니다.

의회 독립과 위상 강화는 지방의회의 오래된 과제입니다. 지방자치법 개정 이후 인사권이 독립됐지만 조직권과 예산권이 여전히 집행부에 있어서 반쪽짜리 독립에 그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방의회법 제정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입니다. 전북특별법에 도의회 관련 특례를 발굴해 반영시키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제주·세종·강원특별자치도의회와의 연대 등도 모색할 계획입니다. 의회 사무처에 3급 국장 자리를 만들고, 의원들의 정책보좌를 위한 정책지원관의 직급을 상향하는 것도 추진할 방침입니다. 우리 의회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사안들은 전국의 지방의회와 연대해 방법을 찾을 작정입니다.

지방의회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는 도청과 도교육청에 대한 감시와 견제입니다. 두 기관과의 관계는 어떻게 정립해 나갈 계획이신지요.

지역발전과 도민의 이익을 위해서는 협력하고, 견제할 것은 견제하는 것이 집행부와 의회의 바람직한 관계입니다. 12대 전반기 의회도 이러한 원칙 아래 협치와 견제의 모습을 보였습니다. 후반기에도 기본적으로 도민 행복과 전북 도약을 위한 의정활동을 펼쳐나갈 것입니다. 여기에 감시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방법론으로 감사위원회를 도의회로 이관하는 것과 교육청 직원 도의회 파견 제도 개선 등을 검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의회 운영은 어떻게 하실 방침입니까.

의회가 상임위원회 중심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생각입니다. 대외적으로도 의장이 드러나기보다는 해당 상임위와 지역구 의원들이 돋보이게 할 계획입니다. 또한 의원들이 당당하고 활발하게 의정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의회 이미지 향상에도 노력할 방침입니다. 의원 개개인의 역량이 전북발전이라는 큰 힘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뒤에서 전폭적으로 돕겠습니다.

끝으로 도민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으시다면.

도민만 바라보며 늘 현장에 있는 도의회가 되겠다는 다짐을 드리고 싶습니다. 의회는 도민들이 인식하는 것보다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입니다. 대표적으로 지방자치를 완성시키는 곳입니다. 따라서 도민 여러분께서 의회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우리 의회도 늘 도민과 공감하고 매사에 공정하게 임해 공신력 높은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