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국, 일본의 청년 농업인들이 전북에 모여 우수 사례를 공유하며 미래 농업 발전에 대한 협력교류 의지를 다졌다.
전북특별자치도는 한중일 3국협력사무국(TCS)과 공동으로 2일부터 5일까지 3박 4일간 도내 일원에서 한중일 청년 농업인 지도자 교육프로그램을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교육프로그램은 청년 농업을 주제로 하여, 한중일 농림부 관계자와 각국 청년 농업인 대표, 한국농수산대 학생 등 약 100여 명이 참가해 지속가능한 미래 농업에 대해 논의했다.
3일 국립무형유산원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개회식에서는 3국 농업 부처 관계자들이 참석해 각국의 주요 농업 정책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한국 농식품부는 스마트 농업 발전 및 산업 장벽 완화 정책, 일본 농림수산성은 기술적 쟁점, 중국 농업농촌부는 스마트 농업 정책 및 미래혁신 협력에 대해 발표하며 국제협력의 중요성과 각국 농업정책을 공유했다.
이 자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최재용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전북의 농생명 산업 정책을 소개하며, 대한민국 농생명산업 수도를 지향하는 전북의 비전을 설명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 탕 솅야오 한국사무소장은 '식량안보위기 상황에 대응하는 중장기 전략'이라는 주제로 특별 발표를 진행했다.
또한, 팀빠머, 토참잘 등 전북을 대표하는 청년 농업인을 비롯한 3국의 청년 농업인들이 농업발전 방안과 교류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주고받는 시간을 가졌다.
이들은 개회식을 시작으로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 임실 치즈 테마파크, 순창 고추장 마을을 방문해 관계자들과 경험을 공유하고 토의를 진행했다. 또한 한국농수산대학교 농업아카데미와도 연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소화했다.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는 "전북자치도는 대한민국 농생명산업 수도를 실현하기 위해 청년농 창업을 첫 번째 전략과제로 설정하고, 청년 농업인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며 "농업과 농촌의 경쟁력 향상과 발전을 위해 청년 농업인들이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을 이어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탕 솅야오 FAO 한국사무소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한중일 청년농업인들이 서로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며 "전북의 농업 혁신 사례가 각국의 농업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전북자치도는 앞으로도 TCS, FAO 등 국제기구와 긴밀히 협력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