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거석 전북교육감의 인사 정책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전북교육청지부(이하 전공노)는 서 교육감의 인사 정책과 관련해 강한 비판을 제기했다.
서거석 교육감은 2018년 18대 전북교육감 출마 당시, "임기제 공무원 숫자를 줄이겠다"며 탕평 인사와 공정하고 예측 가능한 인사 제도를 약속했다. 그러나 임기제 공무원은 2018년 46명에서 현재 70명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교육청 내부에서는 서 교육감이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전공노는 기자회견을 통해 "서거석 교육감의 인사 정책은 측근 챙기기에 불과하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어느 자리에 누가 임명될 것이다"는 예측이 공공연하게 퍼지고, 실제 인사 발표에서도 예측이 맞아떨어진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 공개모집된 개방형 대변인 자리와 학부모지원센터 위탁기관 선정에서 특정인이 임명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어 공정성이 의심받고 있다.
지난 7월 1일자 일반직 공무원 인사에서도 내부 직원 다수가 예상했던 대로 진행되었다. 특히, 5급 사무관 이상의 인사 발표가 늦어지면서 교직원들의 의문을 자아냈고, 결국 특정인이 4급으로 승진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는 서 교육감이 후보 시절 말했던 예측 가능한 합리적 인사와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다.
전공노가 11개 전북교육단체들가 함께 발표한 '서거석 교육감 2주년 중간 평가 설문 결과'에 따르면, 현장 공무원들은 교육감의 임기제 확대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긍정 5.8%, 부정 78.6%). 또한, 근무평정 권한 강화(부정 72.6%), 5급 승진 제도(부정 51.9%) 등 인사 정책 전반의 기조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뿐만 아니라 "서 교육감이 추진한 '학교업무지원센터'도 학교 교직원 간 갈등을 야기하고 있으며, 각 교육지원청 교육지원과의 기존 업무를 떠넘기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무늬만 학교업무지원'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많은 교육 사업들로 인해 교육노동자들이 업무 과중을 호소했다.
전공노는 "교육노동자의 희생을 강요하는 교육 정책은 결코 바른 것이 아니다"라며 서 교육감이 공정하고 예측 가능한 합리적 인사로 되돌아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교육 사업보다 교육 정책이 두드러지는 전북 교육행정으로 기조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공노는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의 "교육행정이 도민과 교육가족의 공감을 얻을 수 있도록 감시와 견제의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