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광주·전남·전북·제주지부는 10월 17일,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에 대한 국정감사에 맞춰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와 교육감들에게 교육 현장의 어려움을 경청하고 정책 개선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전교조 4개 지역 지부는 학생 수 감소에 따른 교사 정원 감축, AI디지털교과서 도입, 교육청의 인사 문제와 예산 낭비 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교육 현장의 어려움을 강조했다.
첫 번째로, 교사 인력 감축에 따른 문제를 지적했다. 전북교육청은 2025학년도에 초등교사 137명, 중등교사 143명을 줄일 계획이다. 그러나 전교조는 학생 수 감소가 곧 학급 수 감소로 이어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탁상행정으로 교사 정원을 줄이는 것은 교사들의 업무량을 증가시키고, 교육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로, AI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이어졌다. 전교조는 AI디지털교과서가 디지털 기기 과의존, 개인정보 보호 문제, 디지털 격차 등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부가 내년 3월 도입을 강행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전북교육청 역시 도입에 대한 우려에 공감하면서도, 막대한 예산을 들여 디지털 기기를 보급하는 데 치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세 번째로, 전북교육청의 단체협약 파기와 인사 문제, 사립학교 감독 소홀 등에 대한 불신도 제기됐다. 전교조 전북지부 송욱진 지부장은 “25년간 쌓아온 단체협약이 일방적으로 파기되었으며, 사립학교의 채용 비리와 갑질에 대한 감독 소홀로 교사들의 불신이 심각한 상태”라고 밝혔다.
광주·전남·제주교육청의 상황도 언급됐다. 광주교육청은 인사 문제와 예산 낭비로, 전남교육청은 홍보성 행사에 치중한 예산 집행으로 비난받고 있으며, 제주교육청은 갑질과 성희롱 문제에 대한 미온적인 대처로 교사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전교조 4개 지역 지부는 “학교 현장의 어려움을 외면하는 교육청과 교육감들이 치적을 쌓기 위한 정책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국정감사에서 책임감 있는 정책 추진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교사 정원 확보 ▲AI디지털교과서 도입 중단 ▲예산 낭비와 관대한 조직문화 개선 등을 요구하며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 추진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