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학교 정광운 교수 연구팀(공대 고분자나노공학과)과 강동규 박사(현 펜실베이니아대 박사후연구원)가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물질의 고차원 구조제어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세계적 학술지 *Small* 1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며 국제적으로 연구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연구팀은 ‘폴리헤드랄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 메조겐’을 활용해 나노 단위에서 분자의 자기조립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단계적 계층 구조를 형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물질의 방향성과 구조를 조절하는 데 성공하며, 기존 소재가 구현하지 못했던 독창적인 특성을 구현했다.
이번 연구는 광학, 전기적, 기계적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고효율 전자재료, 에너지 변환·저장 장치, 나노 의료기술 등 첨단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동규 박사는 “양친성 물질의 나노미터 수준에서의 복잡한 현상을 해석하는 것이 소재 성능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연구 성과의 폭넓은 응용 가능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