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10-23 17:59:08

강용면 개인전 ‘계반삽시(啓飯插匙)’23일부터 도립미술관 서울분관

Gang Yong-myeon Solo Exhibition 'Keiban Sapsi' to be Held at Seoul Branch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from the 23rd

... ( 전북교육신문 제휴 ) (2025-10-23 15:55:08)

IMG
<온고지신 - 깻잎 (부분컷)>

설치미술가 강용면의 개인전 ‘계반삽시(啓飯插匙)’가 23일부터 11월 2일까지 서울 종로구 전북도립미술관 서울분관에서 열린다.

작가는 유교적 삶의 규범 속에서 체득한 예(禮)와 법도(法度)를 예술의 근간으로 삼아, ‘옛것을 익혀 새로움을 안다(溫故知新)’는 공자의 가르침을 현대 조형언어로 풀어내고 있다. 그의 대표 연작 〈온고지신〉 시리즈는 이러한 사유의 시각화로, 전통적인 밥그릇과 제의적 상징물을 현대적 재료와 색채로 재구성하여 한국미의 조형성과 정신성을 탐구해 왔다.

‘계반삽시(啓飯插匙)’는 그 연장선에서 ‘밥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는다’는 제의적 행위(계반삽시)를 예술적 제의로 확장한 작업이다. 『상례비요(喪禮備要)』에 등장하는 ‘계반삽시’는 제사를 올리기 전 조상의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는 절차를 뜻한다. 작가는 이를 ‘사라져 가는 전통과 관계를 깨우는 행위’로 해석하며, 밥공기·숟가락·그릇을 매개로 삶과 죽음, 과거와 현재를 잇는 공간을 구축했다.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신작 〈온고지신–고봉밥〉(2025)은 브론즈와 나무, 채색된 그릇으로 구성된 대형 설치로, 조왕(竈王)의 밥상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둥근 산처럼 소복히 담인 밥공기는 공양(供養)의 의미와 한국적 풍요의 상징을 드러낸다. 또 다른 작품 〈온고지신–깻잎〉(2025)은 작가의 어머니가 평생 지어온 깻잎 농사에서 비롯된 작품으로, 소박한 일상의 정성과 생태적 순환의 미학을 시각화했다.

1957년 전북 김제에서 태어난 강용면은 1980년대 한국성(韓國性) 찾기 운동을 거치며, 한국미술의 정체성과 필연성을 탐구해 온 작가이다.



Solo exhibition "Keiban Sapsi (啓飯插匙)" by installation artist Kang Yong-myeon will be held from October 23 to November 2 at the Seoul Branch of Jeonbuk Provincial Museum in Jongno-gu, Seoul.

The artist, based on the norms of Confucian life, has incorporated the principles of propriety (禮) and law (法度) learned within Confucianism as the foundation of his art. He interprets Confucius' teaching of "learning from the past to understand the new (溫故知新)" into contemporary visual language. His representative series "On the Table" visualizes this philosophy by reconstructing traditional rice bowls and ritualistic symbols with modern materials and colors, exploring the aesthetic and spiritual aspects of Korean beauty.

"Keiban Sapsi" is an extension of this concept, expanding the ritualistic act of "opening the rice lid and placing the spoon" into an artistic proposition. The term "Keiban Sapsi," mentioned in "Sangrye Biyo (喪禮備要)," refers to the procedure of opening the rice lid and placing the spoon before offering ancestral rites. The artist interprets this as an act of "awakening the disappearing relationship with tradition," constructing a space that connects life and death, past, and present through rice bowls, spoons, and dishes.

The new work "On the Table - Gobongbap" (2025) presented in this exhibition is a large installation composed of bronze, wood, and colored dishes, visualizing the dining table of a royal kitchen. The rice bowl gently enclosed like a round mountain symbolizes the meaning of offering and the symbol of Korean abundance. Another piece, "On the Table - Perilla Leaves" (2025), originates from the artist's mother's lifelong cultivation of perilla leaves, visualizing the aesthetics of simple daily care and ecological circulation.

Born in Kimje, Jeonbuk in 1957, Kang Yong-myeon has been exploring the identity and inevitability of Korean art through the movement of seeking Korean essence in the 1980s.



IMG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