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4-20 19:15:32

전북과학교육원 이전 추진 7년째 지지부진


... ( 편집부 ) (2014-08-27 14:20:26)

전북도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양용모) 소속 의원들이 지난 26일 사업추진이 지지부진한 ‘전북과학교육원’ 이전 부지를 방문해 사업 지체 이유를 따졌다.

전북과학교육원은 현 전주시 인후동에서 익산시 부송동 일대 32,752㎡에 지하1층, 지상 4층 규모로 신축 이전될 예정이다.

오는 2016년 하반기 개관을 목표로 교육부의 특별교부금 130억 원 등 총 400억 원의 예산이 투자될 예정으로, 현재는 청동기 시대 유물과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지난 2009년부터 추진된 이전 사업이 늦어지면서 학생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는 지적이다.

익산시 부송동 ‘전북과학교육원’ 이전 부지를 방문한 의원들은 도교육청의 미흡한 행정력과 책임성이 없는 사업추진으로 중요한 교육시설 이전이 수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황현 의원은 “고도인 익산은 어느 지역이나 각종 유물과 유적이 발굴된다는 기초적인 사실조차 파악하지 못했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질타했다. 황의원은 “문화재 또한 귀중한 자산인 만큼 철저한 발굴과 교육적 가치가 있는 유적은 과학교육원 교육과정과 연계할 수 있도록 보존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정호영 의원과 조병서 의원은 “지난 2009년부터 과학교육원 이전사업이 본격 추진되었는데 벌써 7년이 지나도록 제대로 된 예산확보 노력이 없고, 건축물 공사도 시작하지 않았는데 내부 전시진열장비 예산부터 확보하는 비상식적인 행정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질타했다.

최인정 의원은 “이전사업이 추진되면서 현 전북과학교육원에 대한 장비도입 및 시설개선 등이 이루어지지 않아 학생들이 과학교육 사각지대에 놓이는 상황이 몇 년째 반복되고 있다”며 “학생들의 권리와 꿈을 빼앗는 행위”라고 말했다.

이해숙 의원은 “사업이 7년 이상 지체되면서 향후 완공 때는 신축건물의 장비나 시설이 과학교육의 시대적 흐름에 맞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며 “시설과 장비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양용모 위원장도 “이전사업이 늦어지면서 학생들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점이 너무 안타깝다”며 “공직자들이 이런 상황에 책임을 져야한다”고 질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