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5-12 09:57:27

안철수 후보 전주국제영화제 축하 메시지


... 한문숙 (2017-04-28 08:36:14)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4월 27일부터 5월 6일까지 개최되는 제18회 전주국제영화제를 맞춰 이례적으로 영화시장 독과점 문제해소와 문화콘텐츠의 창작·유통·소비(이용) 과정에서 공정경쟁과 공정거래의 실현의지를 적극적으로 표명했다.

안 후보는 “제18회 전주국제영화제 개막에 맞춰 축하메시지를 전했으며 외국의 어떤 영화제와 비교해도 전혀 손색없는 창조적인 영화제로 우뚝 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서 “대기업이 영화 배급업과 상영업을 겸하면서 생기는 불공정 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예술영화·독립영화 등 다양성영화가 관객의 선택과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적정한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평소 생각”이라며 “작년 10월 31일에 이미, 이와 관련된 개선책이 담긴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한 점”를 강조했다.

안철수 후보가 대표발의한 해당 개정법률안은 기획과 투자 제작 배급 그리고 영화관서 상영하는 단계까지의 전과정 모두를 대기업이 독점하다보니 중소 제작사에서 아무리 좋은 영화를 만들어도 상영관에서 걸어주지를 않는 점을 개선하기 위한 법안이다.
이 개정볍률안은 영화산업의 대기업독점화를 막아내고 최소한 영화를 제작한 곳에서 영화관까지 소유하는 것을 막아내기 위한 법안이다.

안철수 후보는 저작권을 비롯한 창작자 권리에 대해서도 “현 시점의 제도 보다 한층 강화되어야 함”을 제기 했으며 “과거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운영방식은 대기업 중심의 동물원”에 지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한마디로 “공정성이 결여된 정책으로는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없다”는 것이다.

안 후보는 “게임 등 정보통신 융복합 콘텐츠 분야에서도 훌륭한 전문역량을 갖춘 창작 핵심인력들이 자꾸만 밀려나고 있다”고 지적하며 “콘텐츠 제작을 맡은 중소제작사의 역할에 맞게 기여한 바가 제대로 인정받고 수익 배분이 이뤄질 수 있도록 공정한 원가제도가 시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지난 정부에서 <다이빙 벨> 상영 방해와 영화제 지원금 삭감 같은 영화제를 둘러싼 검열행위가 재발하지 않도록, 예술표현에 관한 모든 검열행위가 사라지도록, 필요한 제도적 장치를 반드시 하루빨리 만들겠다”고 말했으며 “블랙리스트도 화이트리스트도 없는 ‘노(No)리스트’의 창작환경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