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대 경영학부 3학년 최미영(22)씨가 제16회 청소년발명아이디어경진대회에서 대통령상을 받았다.
한국대학발명협회가 주최한 이 대회에는 전국에서 4300여 점이 출품됐다. 시상식은 25일 한국폴리텍대학 서울 정수 캠퍼스에서 열렸다.
최씨는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로 최고상의 영예를 안았다. 하천 양쪽에 물레방아를 설치하고 스크류를 돌려 물 위에 떠내려 오는 쓰레기를 그물망에 모아 처리하는 제품이다. 물레방아에는 소수력발전기를 달아 전력생산까지 할 수 있다. 심사위원들로부터 “우리 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제품으로 완성도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제품 아이디어는 산책길에서 얻었다. 개인 발명가인 아빠 덕분에 평소 주변 사물을 세심히 들여다보는 습관이 있다.
“어느 날 석양 무렵에 전주천 산책을 나갔다가 떠밀려 내려오는 쓰레기를 목격했어요. 시민들이 즐겨 찾는 자연형 하천의 수면에 잡동사니들이 둥둥 떠다니는 모습이 꼴불견이지요. ‘손이 닿는 가까운 곳이라면 건져내기라도 하겠지만, 물 깊은 하천 중앙의 저 쓰레기들은 계속 흘러가겠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 이를 처리할 방법이 없을까 고민을 했지요.”
구상에서 제품화까지는 3개월 걸렸다. 마지막 한 달은 계획서를 쓰고 그래픽 작업을 하느라 자정을 넘기기 일쑤였다. 마감직전 1주 동안은 새벽 4~5시까지 작업을 했다.
시제품을 만드는 데 적잖은 돈이 들어갔다. 주말이면 예식장에 나가 안내, 꽃 장식 등 알바를 하면서 번 돈을 모두 쓸어 넣었다. 그러고도 모자란 돈은 아빠한테 빌렸다.
주변의 도움도 받았다. 군산대 LINC+(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단은 트리즈 등 교과목을 개설해 학생들에게 발명의 원리,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상품으로 연결시키는 방법을 가르쳤다. 아빠는 물레방아를 만들 때를 비롯해 어려운 순간마다 조언을 해줬다.
최씨는 “발명에 대해 눈에 뜨게 해주고, 관심을 일깨워 준 아빠께 가장 먼저 고맙고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하고 싶다”며 “여건이 되면 제품을 직접 생산해 아름다운 우리 금수강산이 쓰레기로 뒤덮이는 걸 예방하는 데 일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