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4-04 11:55:41

장애인 단체 분노 표출에 전교조 반박했으나 일부 조합원들도 집행부에 비판의 목소리


... 한문숙 기자 (2022-11-11 03:13:40)

IMG
전교조 전북지부가 ‘은화학교 장애학생 사망사건 진상규명 및 재발방지 대책위원회’의 “전교조 전북지부의 특별감사 중단촉구 뜬금없다”고 비판한 기자회견에 대해 반박문을 배포했다.
전교조 전북지부는 특별감사 중단을 촉구한 이유가 “은화학교 교사들과 전북 특수교사들의 요청이 있어 진행된 것”이고 “정상적인 노동조합의 활동”이라고 밝혔다.

또한 전교조는 “이 공문이 특수교사들에게 홍보용으로 활용하지 않았다”고 해명 했다. 그러나 대책위는 이 공문이 “은화학교 교사들에게 홍보 목적으로 공유 되었다. 전북교육청에서 전교조 공문만을 선택적으로 흘렸기 때문으로 보인다는 주장도 사실이 아니다. 전북교육청 감사과에 누가 어떤 의도로 공문을 흘린 것인지 조사하여 알려줄 것을 요구하는 것 자체도 넌센스”라고 지적했다.

또한 전교조 전북지부가 “10월 27일 전북교총이 전라북도교육감에게 보낸 ‘전주은화학교 특별감사 실시 방침 철회 촉구 협조요청’을 들어 자신들만 한 것 이 아니다”라고 항변했다.이에 대해서도 대책위는 “전북교총이 먼저 특별감사 방침 철회를 요구한 건 맞지만 민관합동조사협의회가 시작되기 전이고 협의회가 시작되고 나서는 특별감사 진행을 지켜보자는 입장으로 선회했음을 대책위 관계자에게 밝혔으며 교사노조에서도 학생이 사망한 사건이고 재발방지를 위한 목적의 특별감사까지 중단하라는 것은 무리한 요구라고 답변해왔다”고 전교조 전북지부 반박에 앞서 대책위가 기자회견 질의응답 중에 먼저 밝힌 내용이다.

대책위는 기자회견장에서 전교조 의견서에 분노를 표출한 이유가 “민관합동조사 협의회가 시작된 10월 30일 이후인 11월 4일에 특별감사를 중단하라는 의견서를 제출했다”는 점을 들었다.

전교조 전북지부는 “관리자의 신분상 불이익에 대해 아무런 관심이 없음. 분명한 것은 지금 특정감사로 인하여, 관리자가 아니라 은화학교 교사들과 전북지역 특수교사들이 매우 큰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는 사실임”을 밝혔지만 사건의 직접적 관련자들이 방과후강사, 통학지도사 모두 계약직이었고 담임교사 조차도 지난 8월까지 계약만료된 기간제 교사였다. 그래서 학교 정규직 중에는 “학교 관리자 말고는 특별감사에 관심도 없어 한다.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학부모들에게 그렇게 전하고 있다”고 대책위는 반박했다.

또한 “결과적으로 학교관리자 방패막이에 나선 꼴인데 뭘 부정하고 있냐”며 “감사 자체를 반대해 놓고 감사 방해의도는 전혀 가지고 있지 않음을 명확히 밝힌다고 말하는 것도 궤변”이라고 지적했다.

그리고 대책위가 “2021년 11월 은화학교 장애학생을 학대한 사건 및 2차 가해에 대해서 전교조 전북지부는 침묵으로 일관했으며 현 전교조 특수교육위원장이 사건 당시에 가해자인 교사를 위해 온라인 탄원 서명에 나서기까지 했다”는 주장에 대해서 전교조 전북지부는 해명하거나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은화학교 특별감사 중단을 요구한 전교조 전북지부에 대해 조합 내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증등 조합원인 A모 교사는 "집행부가 조합원의 명예까지 실추 시키고 있다. 고작 한다는 변명이 교총 핑계라니 한심하다. 미숙하다 챙피하다. 결국 교총 따라하고 뒷북치다 욕 얻어 먹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초등 조합원인 B모 교사는 "(타 조합활동 교사가 전교조 조합원인 자신에게 전교조 쪽에서) 장애학생학대 가해자를 위해 탄원까지 받았다는 것에 놀랍다며 자신들은 그 정도까지는 아니다라고 말해 할 말이 없었다. 어쩌다가 이 모양이 되었는지 한심하기 짝이 없다 집행부를 신임 할 수 없게 되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