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4-07 08:30:19

한국전통문화전당, 전통 장판지 제작과정 복원 성공


... ( 전북교육신문 제휴 ) (2024-12-16 20:15:36)

IMG
한국전통문화전당(원장 김도영, 이하 전당)이 연구 분석을 통해 전통한지 장판지 제작과정 복원에 성공했다.

전당은 지난해 전통 부채에 바르는 질기고 단단한 종이인 ‘전통한지 선자지(扇子紙) 복원’에 성공한대 이어, 올해에는 전통한지의 명맥을 잇기 위한 두 번째 과제로 ‘전통 장판지(壯版紙) 제작과정 복원’을 진행했다.

장판지는 유둔(油芚)이란 명칭으로 온돌과 함께 과거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자주 언급될 만큼 일상생활에 밀접해 있어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전통한지 중 하나이자 다른 나라에선 찾아볼 수 없는 한국 고유의 종이이다.

한지 장판지는 1970년대 KS 표준규격으로 제정되며 한지벽지 및 창호지와 함께 산업적으로 가장 활성화된 한지 종류 중 하나였으나 바닥재(PVC바닥재, 합판바닥재 등)에 밀려 설자리를 점차 잃어가고 있다.

이에 전당은 한지 장판지의 제조기술 복원·보존 등의 필요성을 느껴 전통한지 복원의 두 번째 과제로 선정, 전주천년한지관의 전통한지 제조시설과 한지산업지원센터의 연구·분석 인프라를 활용한 복원 작업에 착수했다.

복원 작업은 과거의 장판지 자체를 복원하는 작업보다 후대에 전통 장판지를 온전히 전달해주기 위해 제작과정의 복원에 초점이 맞춰졌다.

복원을 위해 과거 문헌·문화재 등에서 발췌한 기록들을 토대로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의 도움을 받아 4대궁 현장조사 및 한지 무형유산, 한지 관련 전문가, 장판지 제조 관련자들의 자문을 구했다. 이후 전통 장판지에 대한 기록, 제조 기술, 현황 등에 대해 정립했으며, 장판지 유물을 습득해 분석을 진행했다.

또한, 샘플 제조를 위해 장판지가 주로 생산되었던 경남 의령과 전북 완주 지역의 제조 방법에 대해 심층적인 조사를 실시, 두 지역의 제작·가공 방법으로 기반으로 각각의 샘플을 제작하여 복원 연구를 수행했다.

전당은 복원 과정에서 각각의 샘플들을 통해 과거부터 사용되었던 여러 종류의 장판지 마감재를 발견했고, 이에 대한 추가 연구를 진행해 기름칠, 콩댐 등의 특성을 도출했다.

결론적으로 전당은 ‘전통한지 장판지(壯版紙) 제작과정 복원’을 위한 연구 과정을 통해 △장판지 연구 기초 마련 △장판지 제작방법 기록 △과거 장판지 재현 △지류 공예품 등에 사용되는 마감 대체재 제안 등의 성과를 거뒀다.

김도영 한국전통문화전당 원장은 “지난해 선자지에 이어 장판지 복원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전통한지 복원과 보존을 두 번째 발걸음을 마무리했다”며 “전통한지의 맥을 잇고 후세에 전달하기 위해 복원 연구는 지속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아낌없는 노력을 지속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