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10-16 11:18:56

시각예술가 박정애 개인전,‘In Between’10일까지 사용자공유공간planC

Visual artist Park Jung-ae's solo exhibition, 'In Between,' at user-shared space planC until the 10th.

... ( 전북교육신문 제휴 ) (2025-10-03 11:32:03)

IMG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청년 시각예술가 박정애(Revi) 작가가 10월 2일부터 10일까지 전주 한옥마을에 위치한 대안문화공간 사용자공유공간planC 에서 개인전 《In Between》을 개최한다. 전시는 10월 10일까지 이어지며, 관람 시간은 낮 12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다.

이번 전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해 물속에 잠긴 작가의 유년 시절 공간을 영상, 설치, 회화 작업으로 기록하며, 깊이 잠겨있는 설명하기 어렵고 희미한 내면의 감각들을 마주하는 과정을 담았다.

전시의 배경이 되는 곳은 ‘진안군 상전면 주평리 1240’ 으로, 작가가 유년 시절을 보냈던 ‘주평초등학교’ 가 있던 자리다. 용담댐 건설 사업으로 인해 원주평교가 그 자리를 가로지르고, 용담호의 일부가 되어 이제는 GPS 좌표로만 남아있다.

작가는 어린 시절 학교를 다니며, ‘이주’와 ‘보상’이라는 단어 속에서 익숙했던 공간이 파괴되고, 흩어지고, 수몰되어 가는 변화 과정을 지켜봐야 했다. 댐 건설 이후 학교는 사라졌지만, 잔존하고 있는 희미한 감정들을 마주하며, 작가는 “물리적으로 사라진 장소를 아마도 상실했다고 인정하기엔 어렸기에, 그 감정을 감당할 수 없어 차라리 잊기를 택했던 것인지도 모르겠다”고 회고한다.

이번 전시는 그 희미하고 불편했던 감정을 정면으로 마주 보기 위한 여정의 결과물이다. 작가는 오래된 지적도를 찾아보며 수몰된 학교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는 등, 내면의 기억을 선명하게 되살리는 과정을 거쳤다. 물리적으로는 사라졌지만 여전히 내면에 남아있는 흔적들을 따라가며, 국가사업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개인이 감내해야 했던 불편함과 애도되지 못한 감정들을 여러 매체를 통해 다양하게 표현하였다.

작가는 “불편한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있어야 비로소 애도하고, 작별하고, 제대로 인사할 수 있을 것 같았다”고 작업의 의미를 설명했다. “오랜 여정의 끝에서 내가 만난 것은 여전히 살아있는 ‘주평’이었다”며, “이번 전시는 잃어버린 장소와 시간에 대한 기록이자, 이제야 건네는 나의 인사”라고 말한다.

Young visual artist Park Jung-ae (Revi), who is active in the Jeonbuk region, will be holding a solo exhibition titled "In Between" at the alternative cultural space, PlanC, located in Jeonju Hanok Village from October 2nd to 10th. The exhibition will run until October 10th, with viewing hours from 12 PM to 6 PM.

This exhibition records the artist's childhood space submerged underwater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Yongdam Dam through video, installations, and painting works, capturing the process of confronting difficult and vague inner sensations.

The background for the exhibition is '1240 Jupyeong-ri, Sangjeon-myeon, Jinan-gun,' where the artist spent her childhood at the site of the 'Jupyeong Elementary School.' Due to the Yongdam Dam construction project, the original Jupyeong Bridge was blocked, becoming part of the Yongdam Lake, now only existing as GPS coordinates.

Growing up attending school, the artist had to witness familiar spaces associated with the words 'relocation' and 'compensation' being destroyed, scattered, and submerged in the process of change. Even though the school disappeared after the dam construction, facing the lingering vague emotions, the artist reflects, "I might have chosen to forget rather than acknowledge the disappearance of the place physically, as I was too young to accept that reality."

This exhibition is the result of a journey to confront those faint and uncomfortable emotions directly. The artist went through a process of reviving inner memories by searching for the exact location of the submerged school through old maps. Following the traces that still remain within, the artist expressed the discomfort and unexpressed emotions that individuals had to endure within the massive national project through various mediums.

The artist explained the significance of the work, stating, "Only by facing the uncomfortable emotions as they are, could I finally mourn, bid farewell, and properly say goodbye." Reflecting on the end of a long journey, the artist mentioned, "What I encountered at the end was the still-living 'Jupyeong,'" adding, "This exhibition is a record of lost places and times, and now, my belated fare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