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의원은 12일 열린 도의회 본회의에서 자유발언을 통해 “비정규 악법 철폐나 비정규직 보호법 개정, 호봉제 도입 등을 위해 정부를 향해 함께 싸워야 할 ‘진보교육감’이, 필요할 때 고용한 노동자들을 ‘해고가 아니라 계약관계 소멸’이라며 내쳐버렸다”면서 “그러고도 정부 탓, 예산 탓, 의회 탓하는 것은 일반기업가, 자본가의 논리와 무엇이 다르냐”고 강하게 힐난했다.
최근 전북교육청이 3개월 초단기계약 스포츠강사를 모집하면서 공고문에 ‘지방비 추경예산이 확보되면 예산에 맞게 계약기간을 연장함’이라는 단서를 붙인 데 대해서도 오 의원은 강도 높게 비판했다.
즉 “도의회는 지난해 말 2014년도 예산심의 과정에서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요구를 반영해 명확한 대책 수립과 예산 증액을 전북교육청에 끝없이 요구했지만, 교육청은 의회의 간곡한 의견도 여지없이 묵살했다”는 것이다. 오 의원은 “그랬던 교육청이 도의회의 예산 삭감을 핑계로 대고 있다”며 “차라리 솔직해지라”고 말했다.
이어 “김 교육감이 교육부와 대립하고 갈등하던 소신과 신념을 도의회와 도민을 향한 독선과 아집으로 돌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오 의원은 또한 “앞으로 비정규직 채용을 지양하겠다던 전북교육청이 기간제교사 인력풀, 단기계약 등 일관성 없는 채용과 온갖 변명, 핑계로 일관한다”며 “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라고 반문했다.
오 의원은 한편 김 교육감의 최근의 비정규직노동자 폄훼성 발언을 염두에 둔 듯 “비정규직노동자와 노동단체, 선출직 공직자, 진보성향의 정당들 각자가 가지는 권리와 의무를 무시한 채 불순한 세력으로 규정하는 소신은 어디에서 비롯됐는지 참으로 민망하고 안타까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오 의원은 “이 사회의 약자인 비정규직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과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의 소통과 신뢰의 문제가 바로 서지 못했다”며 “국가로부터 당하는 고통도 모자라 우리 전북에서도 배신감과 고립감을 느끼며 싸우고 있는 전문상담사와 스포츠강사 426명 전원을 재고용하라”고 재차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