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사진=김소정 객원기자)
온 국민에게 잔인했던 4월의 마지막 날, 전주 한옥마을에 위치한 경기전 앞마당에서는 애도와 분노 그리고 희망을 바래보는 촛불행렬이 이어졌다.
전교조 전북지부가 주관한 이번 행사는 세월호 실종자 무사귀환과 희생자에 대한 애도 그리고 민주 회복을 위한 전북시민촛불집회였다.
해마다 5월 1일 노동절 전야에 민주노총이 주관하던 행사였지만 이날만큼은 숙연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
박수 대신 노란 손 피켓과 촛불을 든 민주노총 소속 200여 노조원과 100여 명의 시민들이 함께하는 가운데 진행된 이날 행사는 눈물로 시작돼 눈물로 막을 내렸다.
또래 친구들에게 닥친 불행에 익산에서 온 여고생들, 가만히 있는 것이 죄스러워 나왔다는 대학생, 그리고 교사를 꿈꾸는 교육대학교 새내기, 학생들과 함께 호흡하며 남다른 슬픔을 느꼈을 교사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추모행렬에 동참했다.
그들은 한결같이 세월호 참사로 인해 희생된 고인들에게 미안한 마음과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드러냈다.
이런 가운데 한 시민은 '정작 사과를 해야 하는 이들은 제대로 된 사과조차 하지 않고 책임 떠넘기기에만 급급한 것 같다'며 분노하기도 했다.
사랑한다는 말을 마지막으로 남긴 자식과 아직도 해줄게 많은데 돌아오지 않는 아들에게 미안하다는 말만 되풀이하는 아버지의 눈물.
'간절한 염원이 깊은 슬픔을 넘어 분노가 되었다'는 문구처럼 어느 누군가의 아빠이고 엄마인, 그리고 딸이고 아들인 사람들이 모여 깊은 슬픔에 흐느껴 울었고 침몰한 국가안전에 가슴을 치며 유가족들의 아픔에 고개를 숙였다.
슬픔에 잠겨 있는 살아남은 아이들과 내일을 살아가야 할 유가족들에게 하나의 작은 움직임이 큰 기적을 바라는 염원을 촛불과 함께 피워 올린 행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