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시민들의 활발한 참여와 토론을 기반으로 한 열린 예산제 운영을 위해 ‘2016년도 주민참여 예산제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시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했다고 31일 밝혔다.
특히, 시는 올해 △다양한 시민들의 의견에 귀 기울이는 예산 △투명한 주민참여예산 제도 운영 △동 특색을 살릴 수 있는 아이디어 사업 발굴 △활발한 참여와 토론의 장 마련 등 네 가지를 기본 운영방향으로 정하고,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시민들의 열정이 넘치는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을 위해 힘쓸 계획이다.
올해 주민참여사업 운영계획에서 주목할 점은 그간 단순 시민편익사업 위주의 사업발굴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다양하고 개성 있는 주민 아이디어 사업발굴을 통해 적은 예산투입으로 시민 만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사업예산편성에 주력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는 그간 형식적으로 운영되던 동 협의회를 정비하고, 동 지역 실정에 밝고 지역발전에 관심 있는 주민들 위주로 동별 10명씩, 총 330여명의 동 협의회를 구성한 후 동별로 매 분기 정기적인 토론회를 실시하기로 했다.
주민참여예산위원회는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전주시 예산편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주민제안 사업 예산편성 시 사업의 우선순위 선정과 지역에 꼭 필요한 예산반영에 주된 역할을 하게 된다.
시는 2016년 주민참여예산제의 시작을 알리는 예산학교를 4월 중 개최하고, 시 핵심사업 및 주요 업무추진사항에 대한 설명과 함께 주민들의 의견을 받는 한편, 예산교육을 통한 위원회의 전문성 강화, 시민들의 참여예산제도의 이해능력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전주시 기획조정국 관계자는 “2016년도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에 있어서, 우리시 핵심가치인 사람을 가장 최우선으로 생각한다”라며 “토론과 참여를 기본으로 무엇보다 지역 주민들이 만들어가는 사업발굴을 통해 주민참여예산제의 내실을 다지는 해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