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는 최근 환경부가 주관한 ‘공공건물 탄소중립 모델 발굴 사업’ 대상으로 전주자연생태관이 선정돼 2년간 총 80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게 됐다고 19일 밝혔다.
공공부문 탄소중립 모델 발굴 사업은 건물 또는 시설의 용도 및 노후도, 온실가스 배출 특성을 고려해 최적화된 탄소중립 모델을 발굴·확산하기 위해 추진됐다. 시는 지난 8월부터 10년 이상 30년 미만 공공건물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실현 가능성, 대표성, 홍보효과 등을 분석한 뒤 자연생태관을 최종 대상지로 선정하고 공모에 응모해 예산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공모 선정으로 시는 자연생태관을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건물이자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계획이다.
○ 우선 시는 자연생태관을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건물로 조성하고자 △단열성능 강화 및 고성능 창호 교체 △지열설비, 조명설비 등 각종 설비 교체 △신재생에너지(태양광발전시설) 확대 등을 추진키로 했다.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 등급 1+++, 제로에너지 건축물 3등급을 달성하는 등 대한민국 공공건물 탄소중립 표준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민간 건축물의 탄소중립까지 이끈다는 방침이다.
시는 또 방문객들이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내부 콘텐츠를 재구성키로 했다. 생태, 미래에너지, 탄소중립 관련 체험관을 조성하고 시민과 방문객들의 탄소중립 실천을 이끌 환경교육 공간을 조성할 예정이다.
시는 자연생태관에서 수소연료전지 설치, 빗물활용 폭포정원 조성 등 탄소중립과 관련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이번 탄소중립 모델 발굴 사업이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선식 전주시 복지환경국장은 “자연생태관은 단순히 탄소중립을 실현한 건물로 머무르지 않고 탄소중립에 대한 중요성을 알리며 실천하는 공간으로 역할을 해 나갈 것”이라며 “무엇보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시민공감대 형성이 매우 중요한 만큼 대시민 환경교육에 온 힘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