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교육청이 3월에 50여명의 학교급식 안전사고가 발생했는데도 불구하고 별다른 대책이나 대응없이 일관하다 4월 초에 200여명이 넘게 피해학생이 발생하자 뒤늦게 진화에 나서고 있다.
전북도교육청은 오늘 학교급식 식중독 재발방지대책을 발표하고 위생 안전점검과 식재료 검수를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안전관리 준수사항 등 83개 항목을 점검할 계획이며, 불량의심 식재료는 철저 반품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교육국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식중독 대책반을 본격 가동하고, 잠재적 위험식품은 가열식품 위주로 전환토록 할 예정이다. 또 식재료 안정성검사를 강화하고 작업공정과 세척 소독 건조관리 등 HACCP 시스템을 철저히 준수토록 할 계획이다.
학부모와 전현직 교직원이 모여 교육현안을 논의하고 토론하는 시민단체인 전북교육공동연구원 관계자는 CBS 방송 인터뷰를 통해 “대형화된 업체들이 학교급식사업을 독식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번 문제가 생기면 여기저기 문제가 터질수 있음”을 지적하고 “무상급식에 따라 식자재 업체 선정에 학부모가 업체선정에 관여하지 않게 됨으로써 학부모의 식자재 모니터링에 형식적인 점에 머물고 있는 점, 급식지원비에서 인건비와 운영비 빼고 나면 한끼에 1500원 정도하는 밥값으로는 안전한 먹거리 확보에 걸림돌이 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