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4-04 23:03:35

2023년 1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다시 문 연다


... ( 편집부 ) (2022-02-24 16:00:05)

IMG
군산시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군산조선소 재가동 관련 상호 협력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고, 오는 2023년 1월부터 군산조선소를 재가동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강임준 군산시장을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문승욱 장관, 고용노동부 안경덕 장관, 송하진 도지사, 현대중공업 한영석 대표이사가 협약에 서명했다.

협약은 △ 2023년 1월 군산조선소 가동 재개, 물량 및 공정 단계적 확대, 향후 완전하고 지속적인 가동, △ 산업부, 고용부, 전라북도, 군산시는 지속적인 군산조선소 가동을 위한 인력확보 등 적극 지원 등이 주요 내용이다.

이번 협약으로, 군산조선소는 2023년 1월부터 연간 10만톤 규모로 블록 제작에 돌입, 재가동될 예정이다.

현대중공업은 연내에 군산조선소 시설보수를 위해 약 1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조선업 인력수급에 맞춰 점진적으로 블록제작 물량을 확대하는 한편, 조속한 시일 내에 완전하고 지속적으로 가동하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최근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에 맞춰 LNG․LPG 탱크도 군산에서 제작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등 지속성을 계속해서 확대할 예정으로 2017년과 같은 가동중단은 일어나지 않을 것임을 약속했다.

업무협약식에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과 함께 ‘중소형·특수선 선박 중심 핵심 인프라를 집적화해 서해안 조선업 메카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먼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블록제작을 시작으로 LNG·LPG 탱크 제작 등 완전하고 지속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조선업 인력양성 등 생산 인력수급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통해 조선업 생태계를 조속히 회복하고 조선산업 기반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 특수목적선 선진화 단지 구축①, 중소형선박 기자재 품질 고도화 센터②, 무탄소 적용가능 엔진 및 핵심 기자재 개발ㆍ실증을 위한 육상테스트베드③, 조선해양 설치ㆍ운송 인프라 구축④ 등을 통해 중소형ㆍ특수선 중심의 핵심 인프라를 집적화해 조선 산업지도를 새롭게 그려 나가는데 올인할 계획이다

군산조선소가 재가동됨에 따라 군산시 및 전라북도 지역 경제에도 큰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가동 첫해인 2023년에는 연간 10만톤 규모의 블록 제작을 위해 최소 600명에서 많게는 1천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이뤄지고, 이에 따른 지역 내 생산유발 효과는 약 1,989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대중공업은 인력확보 상황에 따라 군산조선소 배정 물량을 확대하고 향후 LNG․LPG 탱크 제작 등 완전하고 지속적인 공장 가동을 합의함에 따라 고용 창출 및 지역경제 효과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정상 가동시(2016년 기준) 지방세 납부 63억원, 군산지역가계 소비지출 약 600억원(인건비의 30% 정도 지역내 소비 추산), 생산유발효과는 약 2조 2천억원에 달했었다.

협약이 체결됨에 따라 시와 현대중공업은 군산조선소의 성공적인 재가동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작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먼저, 현대중공업은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해 필요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시설개선 및 장비 보수를 위해 약 1천억원 규모로 시설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며, 협력업체 모집도 조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또, 시는 산업부와 고용부, 전북도와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해 가장 시급한 사안인 조선업 인력확보 및 양성 등 인력 수급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갈 방침이다.

산업부 2022년 조선업 생산기술 인력양성 사업에 600명의 전북 몫을 이미 확보(28.8억원)했으며, 고용부 훈련수당 지원사업 등과 연계해 올해 총 660명의 조선업 인력양성을 위해 모집부터 교육훈련, 취업연계에 이르기까지 내실 있게 준비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일자리분야 및 고용위기지역센터(고용노동부)와 연계 용접 분야 등 인력양성을 위해 예산을 확보하고 전문인역 양성 기관과 협력을 통해 교육훈련을 할 예정이다.

강임준 군산시장은 “그동안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믿고 기다려준 시민들과 기업체 관계자에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군산조선소의 성공적인 재가동을 위해 물류비 지원 및 인력양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재가동됨으로써 붕괴되었던 조선산업과 지역경제가 활성화돼 군산이 다시 한번 조선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다시 한번 오랜 시간 기다려 준 시민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