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전주를 가로지르는 지방하천인 전주천과 삼천을 옛 고향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는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시는 지난 2012년부터 총사업비 370억을 투자해 색장동 안적교부터 서신동 삼천 합류지점에 이르는 9.8㎞ 구간의 전주천을 생태하천으로 복원해왔다. 또한 지난해부터는 총사업비 280억을 추가 투입해 평화2동 원당교부터 서신동 전주천 합류지점까지 9.8㎞에 걸친 삼천을 생태하천으로 가꿔나가고 있다.
주요 사업내용은 도심하천인 삼천 상류에 출몰한 반딧불이의 서식처 복원과 환경 개선을 통한 반딧불이와 나비 등 다양한 소생물의 개체 수 증가, 기능이 상실된 콘크리트 고정보 개량를 통한 수생물 생태계 복원 등이다.
시는 이 사업을 통해 현재까지 삼천 전체 반딧불이 서식처 3.8㎞ 중 0.9㎞에 대한 정비를 완료했으며, 기능을 상실하거나 보강이 필요한 보 3개소 중 2개소를 철거했다. 전주천의 경우 승암교에서 치명자산까지 시원한 가로수 그늘을 맞볼수 있는 0.7㎞ 산책로도 개설했다.
시는 이 사업을 통해 현재까지 삼천 전체 반딧불이 서식처 3.8㎞ 중 0.9㎞에 대한 정비를 완료했으며, 기능을 상실하거나 보강이 필요한 보 3개소 중 2개소를 철거했다. 전주천의 경우 승암교에서 치명자산까지 시원한 가로수 그늘을 맞볼수 있는 0.7㎞ 산책로도 개설했다.
백순기 생태도시국장은 “전주시 대표 하천인 전주천과 삼천을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도심지 자연형 하천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며 “앞으로도 주민들의 불편사항과 건의사항에 귀를 기울여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생태도시, 생태하천으로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